글로벌상담통역사, 무료 강좌 4월 6일 오픈!
결혼이주여성과 트라우마상담은 뗄려야 뗄 수 없습니다.
1. 이주 과정에서의 스트레스와 심리적 충격
결혼이주여성들은 새로운 문화와 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과정에서 심리적 스트레스를 겪습니다. 언어 장벽, 사회적 고립, 가족과의 분리 등으로 인해 불안과 우울감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가정 내 갈등 및 가정폭력
일부 결혼이주여성들은 가정 내에서 언어적, 정서적, 신체적 폭력을 경험하기도 합니다. 문화적 차이에서 비롯된 갈등, 남편 및 시댁과의 관계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트라우마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사회적 차별과 편견
한국 사회에서 결혼이주여성들은 종종 차별과 편견을 경험합니다. 경제적 지위, 외국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 다문화 가정에 대한 사회적 낙인 등이 심리적 상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4. 양육 스트레스 및 자녀 문제
이주여성들은 한국 사회에서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언어적·문화적 어려움을 겪습니다. 특히 자녀가 학교에서 다문화 배경으로 인해 차별을 받거나, 부모와의 소통에 문제가 생길 경우 심리적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5. 모국과의 단절로 인한 외로움과 향수병
가족과 고향을 떠나 한국에서 정착하는 과정에서 외로움과 향수병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초기 정착 단계에서 이러한 감정이 심화되며, 적절한 상담과 지원이 없다면 장기적인 심리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최근 대한민국 사회에서 발생하는 많은 이슈들이 이들에게는 더 큰 트라우마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러분은 왜 상담을 멀리하나요?
내 마음을 바라볼 여유가 없어서?
마음쯤이야... 경제적인 문제가 시급해서?
나야 괜찮은데 내 아이가 더 큰 문제여서???
어떤 이유든... 엄마가 편하고, 엄마가 행복해야 아이들도 행복하고 가정이 행복해집니다.
많은 결혼이주여성들에게 상담을 권하며,
또한 언어장벽 때문에 상담을 접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없도록 상담통역사를 양성하고있습니다.
2025년 4월,
아시안허브 + 아시아언어문화연구소와 함께
상담을 만나고... 상담통역사 자격증시험에 도전해보세요.
2025년 가장 각광받는 직업이 될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은 아주 쉽습니다.
카카오채널 @아시안허브 채팅창에 "글로벌상담통역사 과정 신청_이름_모국_전화번호_이메일주소"를 남겨주시면 됩니다.
외국어를 매우 잘 하시고, 결혼이주여성 삼담을 돕고자하는 한국분도 환영합니다.
'세계 여성의 날' 기념 추억담 영상공모전! (0) | 2021.02.27 |
---|---|
2021년 새해에는, 아시안허브 다문화전문가들과 함께해주세요! (0) | 2021.02.08 |
엄마가 직접 만드는 이중언어 교재 시리즈 "동참" 부탁드립니다! (0) | 2021.02.02 |
[아시아언어문화연구소] 홈페이지 리뉴얼 안내 (0) | 2021.01.05 |
♥ 다문화가정을 후원해주세요 (아시아문화언어연구소를 후원하는 방법) ♥ (0) | 2020.12.22 |